당장 이번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면세점 등은 한류스타를 모델로 내세워 중국 고객들을 끌어들였던 마케팅 전략의 대폭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유커(游客,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았던 대형 쇼핑몰과 면세점들은 이번 한류금지령에 따른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미국이 고고도 미사일방어(THAAD·사드)사드 배치 발표로 인해 한.중 관계가 경색되면서 한국을 찾는 유커 수가 줄어들 경우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K 뷰티’ 붐을 일으켰던 화장품업계는 이날 주가가 급락하면서 예민한 기색이 역력하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최순실 사태로 국내 정치도 불안한 가운데 중국 정부의 한류금지령은 뷰티업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당장 타격을 받지는 않겠지만 향후 유커 수 감소를 대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기아차 등은 중국 소비자들의 잠재된 '험한' 심리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노력 중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서 대리점·판매점 사원들에게 친절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등에 떠도는 허위사실에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사태가 악화될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한령 이외에도 한국산 제품의 중국 유입이 사실상 규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 지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국산 식품과 화장품 61건이 중국의 수입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수입이 불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불합격 건수(236건)의 25.8%를 차지한다. 앞서 올해 1~7월 전체 불합격 건수에서 한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7~8.4%에 불과했던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높아진 것이다.
무협은 9월 이후 통계에서도 한국산 제품의 불합격 비중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중간 관계 악화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기업들 사이에서는 중국측 거래 상대방의 태도가 예전과 달라졌으며, 협상 테이블에서조차 한국의 정치적 사안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한한령 유포가 자국 국민들이 통제가 안되는 것에 대한 위기감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중국의 무역 통계 기준으로 한국은 중국의 제1 수입국으로, 소비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여전히 대한국 무역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면서 “사드 문제를 표면화하면서 한국에 대중국 교역 중단 우려 효과는 성공적으로 거두고 있으나 오히려 한류에 열광하는 중국 젊은층들이 정부의 기조를 따르지 않고 있어 험한 기류를 확산시키겠다는 정책이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강경한 태도로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