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엄수된 고(故) 백남기 농민 영결식에서 추도사를 읽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2일 “황교안 국무총리를 그대로 두고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하면 결국 박근혜 정권의 연속”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가 이제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정치력을 발휘해 새 총리를 선임하는 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청와대가 박 대통령 퇴진을 전제로 한 총리 추천을 거부한 상황에서 국회가 촛불정국의 주도권을 잡고 과도정부 구성을 위한 새 총리 구성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 위원장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내며 재차 새 총리 구성에 나서자고 촉구했다.
그는 “(박 대통령) 탄핵 시 국회의원 200명 이상의 의결이 가능하지만,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소추가 과연 인용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선 아직도 확신을 못 하는 상태”라며 “대통령 권한대행을 황 총리가 맡았을 때 참으로 암담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의 여야가 대통령과 만나 총리를 먼저 추천하고 탄핵을 병행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막후 정치 논란에 휩싸인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겨냥,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피할 수 없는 부두목”이라며 “검찰은 김기춘과 우병우(전 청와대 민정수석), 70억원을 최순실에게 상납했다가 검찰의 압수수색 중 반납했다는 설이 도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을 반드시 구속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박 위원장은 개헌 논의와 관련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이 회의적이라고 언급하며 “적극적으로 추진하던 정세균 국회의장도 ‘지금 국민이 개헌 논의를 받아들이겠느냐’는 회의적 말씀을 하고 있다”며 “결국 물리적으로 개헌은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