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15일 자정까지 가금류 관련 대상 이동중지” 초강수

  •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 등록된 8만9천개소 48시간 발 묶여

  • 계란값 등 폭등 예상…당국 물가 잡기 안간힘

[1]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정부가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오는 15일까지 48시간 동안 모든 가금류 관련 대상 이동중지 명령이라는 초강수를 내놨다.

AI로 인한 살처분은 1000만 마리를 넘었다. 역대 최고 속도로 특정지역을 가리지 않고 우후준순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대 피해액을 넘어 설 것이라는 관측이 높은 가운데 정부의 이동중지 조치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확진 및 예방 차원에서 도살 처분된 가금류는 887만8000마리로 집계됐다. 앞으로 154만1000마리가 추가로 도살 처분될 예정이다.

지난 2014년에는 195일 동안 1396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현재 추세라면 올해는 역대 최단기단내 최대 피해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날 전국 가금 관련 시설·차량 등에 대해 일제 소독을 한 후 13일 0시부터 15일 0시까지 48시간 동안 전국 가금류 관련 사람, 차량, 물품 등을 대상으로 일시 이동중지(스탠드 스틸) 명령을 내렸다.

김경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충북 음성·진천, 경기 포천 등에서는 방역대내 오염지역에서 차량 등을 통한 인근 농장간 전파가 추정된다”며 “특히 산란계 농장 알 운반 차량 등은 오염지역 노출 빈도가 높아 향후 다른 지역으로 수평 전파 가능성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시 이동중지 적용대상은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등록된 8만9000개소다. 한편 정부는 이날 오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첫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범정부적인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농식품부 방역대책본부내에 국민안전처, 행정자치부, 환경부, 질병관리본부 등으로 구성된 범정부 지원반을 추가 설치한다. 48시간 이동중지로 발생할 계란값 등 가금류 관련 농축산물 폭등에 대한 조치도 이뤄진다.

계란값은 고병원성 AI가 산란계를 중심으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계란값 인상도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 6일 특란 기준 계란 도매가격은 10개당 1418원으로 전년 평균 대비 4.6% 올랐다.

농식품부는 현재 학교들이 방학 기간에 접어들며 계란 수요가 높지 않아 당장은 수급에 큰 차질을 빚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 될 것을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