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3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문제와 관련해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13일 이준식 사회부총리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여당 의원들의 질의에는 기존 방침대로 강행할 것처럼 답변하고 야당 의원의 질의에는 수정할 것처럼 답을 해 혼란을 줬다.
이처럼 여전히 혼란스러운 이 부총리의 답변에 대해 교육부의 수장으로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부총리는 이날 국회 교문위 전체회의에서 내년 이대로 국정 역사교과서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노웅래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모든 가능성을 놓고 이달 말 논의를 거쳐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유은혜 민주당 의원은 “이 부총리의 현안보고가 너무 유감이고 실망”이라며 “최종 결제를 내년 1월까지 해서 인쇄보급을 1, 2월까지 하는 것으로 추진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밝혔는데 지난 목요일 간담회에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하고는 현안보고에는 고심 흔적이 없이 계획대로 강행하겠다는 뜻이 그대로 담겨 있다”고 지적했다.
이 부총리는 “23일까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역사교육의 안정적인 추진 방안을 고려해 말씀드리겠다”며 “현 시점에서는 원래 계획대로 보고 드릴 수밖에 없어 양해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 탄핵과 분리해 사고해야 한다는 전희경 새누리당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역사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교육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기존 방침대로 밀어붙일 것을 주장하는 여당 의원들에게는 긍정적으로 답하다가도 문제점을 지적하며 철회를 주장하는 야당 의원들에게는 기존 방침을 변경을 할 것처럼 답변을 해 혼란스럽게 했다.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국정 추진에 대해 동력 상실이라거나 출구전략에 대한 기사들이 나오는 이유를 전희경 의원이 따지자 이 부총리는 “공개 이전부터 언론이 추측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교육부에서는 현재 원래 추진 원칙을 유지하고 12월말까지 의견을 수렴해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도 했다.
1년 유예나 국검정혼용안에 대해서도 이 부총리는 “언론에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아직 교육부는 단정적으로 확정한 방안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조훈현 새누리 의원이 3개월도 안 남았는데 국정교과서 사용 여부가 불확실해 현장에서 혼란이 있는데 대책은 없느냐고 질의하자 이 부총리는 “이달 말까지 확정되면 큰 문제없이 추진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조 의원이 국검정혼용으로 가는 것이냐고 묻자 이 부총리는 “국검정혼용은 법령상 쉽지 않아 지금 현재 답변드릴 내용이 없다”고도 했다.
이날 유성엽 교문위원장은 자체 조사 결과 국정 역사교과서의 학교 현장 도입에 찬성하는 교육청이 경북 한 곳, 유보가 대구, 대전, 울산 3곳, 나머지 13개 교육청은 반대하고 있다며 이 부총리에 현장의 목소리를 묵살하고 의견수렴도 미적거리면서 교육부 정책이 살아날 수 있겠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