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PP협의회에 따르면 국내 전체 PP 사업자 181곳 중 124곳(68.5%)이 연 매출이 100억원 이하로, 콘텐츠 제작에 재투입할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PP업계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매출이 6~7% 성장했지만, 영업 손익면에서는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보면 지난해 PP의 매출은 전년대비 1.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 또한 0.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중소기업 수는 157개로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전체 방송사업 매출 비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3%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대기업PP 매출은 연평균 10%대 성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 PP 매출은 연평균 7.7% 감소했다.
중소 PP업계 관계자는 "PP 콘텐츠 제작 환경만 봐도 대기업PP에 편중되고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재원이 부족한 중소PP들로서는 콘텐츠 제작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케이블TV 업계 시장이 최근 몃 년간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대기업PP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PP의 수신료매출(ARPU) 감소는 일반PP 콘텐츠 대가배분을 축소하고, 이는 콘텐츠 투자약화 및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실제 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국내유료방송 수신료가 2012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30개 중 29위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0분의1 수준인 슬로베니아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최하위 수준의 유료방송의 저가 ARPU 구조를 개선해 채널 거래 시장을 안정화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PP의 콘텐츠 제작비와 방송영상제작 인프라 등 기술 및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디지털 환경에 기초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등의 부가서비스 활성화를 통해 PP수익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활로가 될 수 있다는 것. 이와 함께 중소PP의 OTT·웹콘텐츠 등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임성수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PP 재원확보 방안으로 유료방송의 ARPU 개선이 필수"라며 "PP가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신규 기법의 광고 등을 개발하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세경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원받을 기회가 적었던 역량있는 중소PP를 발굴해야 한다"며 "민간투자기관이 주도해 제작 아이템을 선정하고 제작 투자를 끌어내 정부자금을 매칭하는 형태의 모델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