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원격의료는 장기간 항해하는 선박과 해양원격의료센터(부산대학교 병원) 간 위성통신을 활용해 선원 건강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지도하는 시스템이다.
원격의료는 의료 취약지역 거주자 의료접근성을 높이고 적시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공공의료를 실현하고자 해수부가 보건복지부·미래부 등과 범부처 협업으로 추진 중인 국정 과제중 하나다.
해수부는 지난해 추진한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사업 대상을 6척에서 올해 20척(약 500여명)으로 확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는 일부 선박의 경우 여유 공간이 부족해 원격의료 장비를 설치할 수 없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원양어선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장비를 개선했다.
또 신속한 의료지도와 위성통신비 절감을 위해 시스템과 의료정보 용량을 최소화했고, 장비 구매 비용과 설치비용도 절반 수준으로 낮출 수 있게 됐다.
해수부는 해양원격의료 지원이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오는 2019년까지 도입하도록 요구하는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 권고 서비스 중 하나로 앞으로 해양 신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남규 해양수산부 선원정책과장은 “해양원격의료는 육지와 떨어져 바다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선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라며 “원격의료장비 설치비용이 절감돼 더 많은 선박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