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교육부는 9.12 지진 당시 일부학교의 대처능력 부족과 학교 현장의 매뉴얼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고,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재난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많아 재난전문가, 국민안전처, 시도교육청 등 관련부처 및 현장 교원으로 추진단을 구성해 매뉴얼 개정작업을 진행해왔다.
매뉴얼은 학교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유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재난유형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분류체계를 참고해 자연재난․사회재난․기타재난으로 분류해 17개 재난유형으로 구성했다.
학교ㆍ교사의 조치사항과 학생들의 행동요령은 구분 제시해 활용성과 가독성을 높였다.
지진에 관한 내용은 단계별 학교조치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대피 이후에도 수업진행 여부, 귀가 시 학생 안전대책 등 학생에 대한 안전조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
최근 위험성이 높아진 화학물질유출사고 및 통학버스․교통안전 등 신종 재난․안전사고유형은 새로 추가했다.
교육부는 이번 매뉴얼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개정한 것으로, 학교에서 개정된 매뉴얼을 참고해 학교별 상황 및 여건에 따라 자체 매뉴얼을 제작해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는 안전교육․훈련 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교현장 재난유형별 교육․훈련 매뉴얼은 교육부(www.moe.go.kr)와 학교안전정보센터(http://www.schoolsafe.kr) 홈페이지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