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버스 지입운영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위법사항이다. 특히 안전점검 및 교육 부족, 지입료 납부를 위한 무리한 운행으로 인한 사고율 증가, 지입업주의 생존권 문제 등 수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제주도는 전세버스 지입차량 신규등록 허용기간을 활용해 합법화 전환을 유도하고, 위법사항에 대해서는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단속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도내 전세버스는 59개업체 2285대로 이중 상당수가 지입차량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전세버스 일부 양도·양수를 제한하는 조례를 개정해 지입해소를 위한 차량의 업체간 이동이 한시적으로 지난해 말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1년간 가능하도록 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신규등록 허용기간 동안 지입차량에 대해 주주편입 등 직영화, 협동조합 등 신규등록 참여, 일부 양도·양수 등 지입차량의 합법화를 자진 유도한다. 만약 기한내 처리되지 않은 지입차량에 대해서는 검찰, 경찰 및 세무서 등과 연계해 강력하게 단속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