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국민의당과의 통합선언 기자회견을 하는 가운데 문병호 최고위원 등 국민의당 의원들이 바라보고 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국민의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서는 손학규 전 대표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특검법 개정안 연장 무산 사태의 책임론을 거론하며 파상공세를 폈다.
또한 ‘문재인 정권’을 제2의 박근혜 정부를 지칭하며 권력 사유화 논란에 불을 지폈다. 국민의당 대선 경선을 앞두고 반문(반문재인) 진영을 결집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손 전 대표는 이날 오전 대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 참석, 특검법 개정안 연장 무산 사태에 대해 “전적으로 민주당 지도부와 문 전 대표의 잘못”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민주당은 (탄핵 전) 총리 임명 문제를 의도적으로 외면했고 탄핵 날짜를 결정해놓고도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며 “오직 정권 획득에만 눈이 어두워 국정 운영에는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손 전 대표는 탄핵 전 여야 합의로 국무총리 교체를 주장했던 점을 거론하며 “이런 사태를 예견했기 때문”이라며 “나라를 바로 세우는 것보다 자신의 권력획득에만 집착한 정치인에게 결코 나라를 맡길 수 없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집권한 문재인 정권이) 권력을 사유화한 ‘제2의 박근혜 정부’가 될 것이라는 말은 여기서 나온다”고 꼬집었다.
한편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는 전날(23일) 국회의장실에서 40여 분간 회동하고 특검법의 직권상정 문제를 놓고 담판 회동에 나섰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는 데 실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