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도시험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이 대기, 수질 등 환경오염도 민․관 검사기관 약 1450여 개소를 대상으로 매년 분석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해 오고 있다.
평가방식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질오염물질별 암모니아성 질소 등 19개 항목 시료를 제조해 각 기관으로 발송하고, 해당 검사기관들이 시료 분석 결과를 국립환경과학원으로 제출하면 그 결과를 가지고 Z-score(또는 오차율)로 평가한다.
평가결과 Z-score의 절대값이 2이하인 경우 '만족' 결과를 받게 되는데 이에 따른 기관평가는 시료항목 평가결과를 100점으로 환산해 90점 이상이면 “적합”기관으로 판정한다.
이번 결과는 수질연구소가 국가공인 먹는물 검사기관으로써 먹는물 분야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증 획득(2008년 인증 획득) 등 수질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그 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김복기 본부장은 “수질연구소가 국내 최고의 먹는물 검사기관으로서 시민들에게 건강하고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새로운 분석신기술 도입으로 수질검사능력을 높이고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해 수돗물 품질을 향상시켜 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