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지주회사인 SK㈜가 전자투표제를 도입키로 했다.지난달 SK이노베이션이 삼성, 현대차, LG그룹 등 주요 그룹 가운데 처음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키로 한데 이어 SK그룹 내에서는 두번째다.
SK㈜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전자투표제 도입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주주들이 경영에 적극 참여해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주주 친화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결정이다.
전자투표제는 주주가 해외에 있거나 바쁜 일정으로 인해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못하거나 복수의 회사가 동시에 주총을 열어 출석이 어려울 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부는 지난 2009년 상법 개정을 통해 전자투표제를 도입했으며 현재 전자투표제의 시행 여부는 각사 이사회 결의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SK㈜는 ‘글로벌 투자전문 지주회사’ 도약을 목표로 주주친화경영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벌여왔다.
지난해에는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한 이사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거버넌스 위원회'를 설립, 주주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투자 및 회사의 합병∙분할, 재무 관련 사항 등 주요 경영사안을 사전 심의하도록 했다.
또 2004년부터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투명경영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고, 2015년 통합지주사 출범 시 약속했던 배당성향 30% 달성을 조기 이행했다.
아울러 재무성과와 사회책임, 환경 경영 등을 평가하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JSI)에 6년 연속 상위 10%인 DJSI 월드 편입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SK㈜ 관계자는 "글로벌 투자전문 지주회사 도약을 목표로 사회와 주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전자투표제 도입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주주들이 경영에 적극 참여해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주주 친화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결정이다.
전자투표제는 주주가 해외에 있거나 바쁜 일정으로 인해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못하거나 복수의 회사가 동시에 주총을 열어 출석이 어려울 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부는 지난 2009년 상법 개정을 통해 전자투표제를 도입했으며 현재 전자투표제의 시행 여부는 각사 이사회 결의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한 이사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거버넌스 위원회'를 설립, 주주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투자 및 회사의 합병∙분할, 재무 관련 사항 등 주요 경영사안을 사전 심의하도록 했다.
또 2004년부터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투명경영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고, 2015년 통합지주사 출범 시 약속했던 배당성향 30% 달성을 조기 이행했다.
아울러 재무성과와 사회책임, 환경 경영 등을 평가하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JSI)에 6년 연속 상위 10%인 DJSI 월드 편입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SK㈜ 관계자는 "글로벌 투자전문 지주회사 도약을 목표로 사회와 주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