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이제 대원제국의 마지막 대칸으로 순제(順帝) 또는 혜종(惠宗)으로 불리는 토곤 테무르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자. 순제는 나중에 명나라가 토곤 테무르를 부른 시호이고 정식 묘호는 혜종이다. 여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고려 공녀출신으로 왕후의 자리에 까지 오른 기왕후(奇王后)에 대한 얘기다.

[사진 = 드라마 ‘기황후’ 포스터]
그녀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기는 하지만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보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 부정적인 평가는 주로 중국이나 몽골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좀 더 냉정히 평가하면 기왕후는 무너져 가는 몽골 제국을 살려내기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한 인물이라는 평가에도 무게가 실린다.
▶ 몽골황실의 귀양지 대청도

[사진 = 대청도 위치]

[사진 = 옥죽포 해변]

[사진 = 토곤 테무르 안내 표지판]
▶ 대칸 토곤 테무르 귀양살이
대청도는 몽골말로 ‘쳉헤르 아랄’, 즉 푸른 섬이라 부른다. 멀리서 볼 때 산림이 검푸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쳉헤르 아랄에 유배돼 있었다는 토곤 테무르는 언급한 대로 비운의 대칸 코실라의 큰아들이다. 코실라가 몽골 북쪽 지역에 있을 때 만난 여인으로부터 얻은 아들이 바로 토곤 테무르였다. 코실라가 대칸의 옥새를 받자마자 엘 테무르 무리에게 살해되면서 10살도 채 안된 토곤 테무르에게는 어린 나이에 견디기 힘든 삶이 시작된다.

[사진 = 토곤 테무르 안내판]

[사진 = 대청부채]
▶ 대청도에 대한 향수와 고려 여인
어쨌든 어린 시절 일 년 반 가까이 고려의 외딴 섬에서 보냈던 토곤 테무르의 머릿속에는 고려라는 나라와 고려인들은 특별한 이미지로 각인 됐을 것이다. 토곤 테무르가 대칸의 자리에 오른 뒤 고려 여인을 총애하면서 결국 황후의 자리에까지 올리게 되는 배경에는 토곤 테무르가 대청도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이제 공녀에서 황후의 자리까지 올라가는 고려 여인에 대한 얘기를 따라가 보자. 기씨(奇氏)성을 가진 이 고려 여인은 황후가 된 뒤 대원제국의 몰락에도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있어 그냥 지나치기가 어렵다.
▶ 무인집안의 막내딸 기여인
기(奇)여인의 아버지 기자오(奇子敖)는 행주(幸州) 기씨(奇氏) 집안으로 고조부인 기윤숙과 조부인 기순우 등이 모두 문화평장사(門下平章事)등 무관을 지낸 것을 보면 무인(武人) 집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기자오도 중급 무관을 지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황후는 기자오의 3남 3녀 중 막내딸인 것인 전해진다.
드라마나 소설에는 기승냥 또는 기순녀라는 이름이 등장하지만 이 여인을 이름을 알려주는 기록은 없다. 기씨 성을 가진 이 고려여인이 고려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어떻게 공녀(貢女)가 됐는지 말해주는 기록도 없다.
▶ 80여 년 간 끌려간 공녀 천명이상

[사진 = 공녀관련 고려사]
고려가 몽골의 영향권 아래 있던 80여 년 동안 매년 수십 명의 공녀가 징발돼 끌려갔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제는 군대위안부를 강제로 보내면서 나라위해 몸을 던지는 부대라는 의미로 정신대(挺身隊)라는 이름을 붙였다. 말하자면 공녀는 고려판 정신대라 할 수 있다. 과부와 처녀를 선발해서 공녀로 데려가기 위해 고려에는 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 이라는 관청까지 생겨날 정도였다.
아무튼 이 여인도 아마도 그렇게 끌려간 많은 공녀 중에 한사람인 것만은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러나 일부 사학자들은 고려의 공녀는 일본의 정신대와는 전혀 성격이 달랐다고 주장하고 있다. 몽골제국에서 고려여인으로 어느 정도 대우를 받았고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인종인 아유르바르와다의 황후였던 바얀 코토크(伯顔忽篤)는 충선왕의 비인 순비(順妃) 허씨의 딸이었고 태정제 이순 테무르의 황후였던 다마시리(達麻實里)는 정승을 지낸 김심(金深)의 딸이었다. 이들을 정신대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이들이 원나라 황실에서 많은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기왕후의 등장도 가능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 고려출신 궁녀와 환관의 만남
공녀만 요구했던 것이 아니고 몽골은 고려 출신 환관(宦官)들도 상당수 요구했다. 한인을 최하층 신분으로 취급했던 몽골인들은 한자를 알고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고려인 환관을 궁정 안에 두고 부려먹기가 편리했을 것이다. 그래서 대도와 상도의 궁궐 안에는 고려에서 건너온 환관과 궁녀들이 적지 않았다.

[사진 = 고용보 언급 고려사]
그래서 그는 기씨를 토곤 테무르에게 다과를 갖다 바치고 차를 따르는 역할을 맡겼다. 그 같은 시도는 대칸 토곤 테무르가 기씨를 총애하게 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바탕에 두고 있었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