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한 건설사가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 모델하우스 내부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뉴스]
올해 서울에 공공분양주택 2000가구 등 총 2만5000가구의 공공주택이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주거복지 로드맵'을 통해 발표한 공공주택 공급 확대의 후속조치로 올해 공급하기로 한 공적주택 18만8000가구의 세부 공급계획을 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올해 공공분양주택 1만8000가구와 함께 공공임대주택 13만가구, 공공지원 임대주택 4만 가구 등 18만8000가구의 공적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건설형(준공기준)은 7만 가구, 매입·임차형(입주기준)은 6만 가구를 올해 공급하기로 했다.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은 수도권에서 서울 6000가구, 경기 2만9000가구, 인천 4000가구 등 3만9000가구를 각각 공급한다.
지방에서는 경상에서 가장 많은 1만8000가구를 공급하며, 충청(7000가구)과 전라(4000가구), 강원(2000가구) 등 순으로 공급 예정 물량을 배정했다.
매입·임차형의 경우 수도권에서는 서울 1만7000가구, 경기 1만3000가구, 인천 5000가구 등 3만50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방에서는 경상 1만2000가구, 전라 6000가구, 충청 5000가구 등을 중심으로 공급이 이뤄진다.
올해 공공주택 물량을 공급 주체별로 살펴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1만1000가구, 서울주택도시공사(SH)를 포함한 서울시가 1만4000가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공공분양주택 1만8000가구와 공공임대주택 13만 가구 등 공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자체와 긴밀한 협업 체계를 운영하고 연말 성과평가를 통해 우수 지자체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