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테스트는 대학, 출연연 보유 기술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사업화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것이다. 사업화를 희망하는 공공 연구기관이 기술을 제시하고, 대학생이 연구자가 아닌 제 3자의 시각으로 활용분야를 제안하는 방식이다.
나노분야를 대상으로 지난해 12월에 진행했던 BI콘테스트에는 총 40개팀의 사업화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이 중 본선에 10개팀이 진출, 총 5개팀이 수상했다.
참가팀 중 재료연구소의 은나노 와이어기반 투명전극 기술을 활용한 아이템을 제안한 단국대팀은 ‘유앤드아이’라는 회사를 창업해 4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BI콘테스트 추진방식 및 일정[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 광화문에 소재한 청년희망재단 강의실에서 열리는 기술설명회는 스파크랩 김유진 대표의 ‘과학기술 기반 비즈니스모델(BM) 성공 노하우’ 강연을 시작으로, 바이오분야의 10개 공모기술을 보유기관의 전문가가 설명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대상기술은 생명공학연구원, 화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등 국내 대표적 연구기관이 보유한 바이오분야 기술 중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적용 가능범위가 넓고, 사업화에 유망한 기술을 선정했다.
△자기장과 레이저의 복합자극모듈을 통한 탈모예방 및 치료 장치(연세대학교) △동물용 방사선 치료기(한국원자력의학원) △삼킴 횟수 측정 시스템(포항공과대학) 등이다.
이외에도 한국화학연구원의 ‘진단용 바이오 촉매’ 기술 등 총 10개 기술을 아이디어 제안 대상 기술로 제시했다.
참가 희망자는 제시된 기술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아이디어 제안서 작성 후 다음달 25일까지 일자리진흥원 홈페이지로 제출하거나 온오프믹스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기술사업화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이 제출된 아이디어 제안서 심사를 거쳐 10개팀을 선발하고, 선발된 10개팀은 자문단의 지도 후 5월 31일 본선 콘테스트를 치른다.
대상팀에게는 200만원의 상금과 일자리진흥원장 명의의 상장을 수여하는 등 총 550만원의 상금과 부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성과정책관은 “대학 및 출연연의 사업화 유망 보유기술이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대학생들의 아이디어와 만나, 실험실 창업이라는 모습으로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