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4개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7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왼쪽부터)노회찬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원내대표,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7일 여야 원내교섭단체 대표 간 협상 결렬의 책임을 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바른미래당의 갈등이 최고치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드루킹 댓글조작 특검’을 받겠다고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으나 야당이 국회 비준동의, 추가경정예산, 민생법안 처리를 한꺼번에 제시해 국회 정상화 협상이 결렬됐다고 강하게 몰아세웠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협상 결렬 후 페이스북을 통해 “특검만 수용하면 추경은 해주겠다는 것도 거짓말이었다”며 “국가와 민생을 위해 통 큰 양보를 했으나, 자기들 마음대로 하겠다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에 큰 분노를 느낀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통 큰 제안에도 파행 하면 어떻게든 국회를 파탄 내고 그것으로 명분 잡아 지방선거에 임하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날 민주당 소속 대변인들도 일제히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을 비난했다.
박범계 수석대변인은 “자유한국당이 ‘조건 없는 특검법 수용이 국회 정상화의 유일한 길’이라고 밝혔다”며 “야당으로서 정부와 여당을 공격하고 싶은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국익과 민생을 뒤로 한 채 오로지 정치공세에만 매달리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강훈식 대변인도 이날 구두 논평을 통해 “우리 당이 제시한 추경과 주요 민생 법안들은 아예 합의할 생각도 없었다”며 “오로지 ‘드루킹 특검’을 대선불복 특검으로 만들어 정권에 흠집을 낼 생각, 그래서 지방선거에서 이득을 볼 생각, 그것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이날 국회 정상화 지연의 책임을 민주당에 돌렸다.
특히 한국당은 김성태 원내대표에 대한 폭행사건으로 대여 공세 강도가 한껏 올라간 모양새다.
한국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비상 의원총회를 열어 오전 여야 협상 결렬 책임이 유명무실한 드두킹 댓글 조작 특검을 제시한 민주당에 있다고 성토했다.
이어 국회 정상화와 추가경정예산안, 각종 민생·경제 법안의 처리를 위해서는 민주당이 정세균 국회의장이 제시한 마지노선인 8일까지 조건 없이 특검을 받으라고 압박했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5월 국회는 끝”이라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던졌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민주당이 오전 여야 회담에서 사실상 '무늬만 특검'인 유명무실한 특검을 하자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 특검법안 처리도 민주당이 비토권(거부권)을 갖고 대통령 입맛에 맞지 않는 특임검사를 수용할 수 없다는 꼼수를 부렸다”고 말했다.
의총이 끝나고 김 원내대표는 의원 70여명과 국회 본청 투쟁본부 옆 계단에서 별도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5월 국회가 정상화되면 추경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한다”며 “내일 데드라인까지 민주당과 협상이 성사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원내대표 회동 이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이 특검 거부를 교묘하게 조건부 수용으로 포장했다”고 비난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말로는 특검을 수용한다고 했지만, 사실상 야당이 받을 수 없는 수많은 전제와 조건을 내건 아주 교활한 제안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특검에 추가경정예산안 통과를 걸어놨지만 실은 추경안도 처리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면서 “당당하다면서도 김경수 의원과 청와대는 민주당에 책임을 떠넘기고 민주당은 특검을 거부하고, 서로 짜고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드루킹 댓글조작 특검’을 받겠다고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으나 야당이 국회 비준동의, 추가경정예산, 민생법안 처리를 한꺼번에 제시해 국회 정상화 협상이 결렬됐다고 강하게 몰아세웠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협상 결렬 후 페이스북을 통해 “특검만 수용하면 추경은 해주겠다는 것도 거짓말이었다”며 “국가와 민생을 위해 통 큰 양보를 했으나, 자기들 마음대로 하겠다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에 큰 분노를 느낀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통 큰 제안에도 파행 하면 어떻게든 국회를 파탄 내고 그것으로 명분 잡아 지방선거에 임하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박범계 수석대변인은 “자유한국당이 ‘조건 없는 특검법 수용이 국회 정상화의 유일한 길’이라고 밝혔다”며 “야당으로서 정부와 여당을 공격하고 싶은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국익과 민생을 뒤로 한 채 오로지 정치공세에만 매달리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강훈식 대변인도 이날 구두 논평을 통해 “우리 당이 제시한 추경과 주요 민생 법안들은 아예 합의할 생각도 없었다”며 “오로지 ‘드루킹 특검’을 대선불복 특검으로 만들어 정권에 흠집을 낼 생각, 그래서 지방선거에서 이득을 볼 생각, 그것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이날 국회 정상화 지연의 책임을 민주당에 돌렸다.
특히 한국당은 김성태 원내대표에 대한 폭행사건으로 대여 공세 강도가 한껏 올라간 모양새다.
한국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비상 의원총회를 열어 오전 여야 협상 결렬 책임이 유명무실한 드두킹 댓글 조작 특검을 제시한 민주당에 있다고 성토했다.
이어 국회 정상화와 추가경정예산안, 각종 민생·경제 법안의 처리를 위해서는 민주당이 정세균 국회의장이 제시한 마지노선인 8일까지 조건 없이 특검을 받으라고 압박했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5월 국회는 끝”이라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던졌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민주당이 오전 여야 회담에서 사실상 '무늬만 특검'인 유명무실한 특검을 하자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 특검법안 처리도 민주당이 비토권(거부권)을 갖고 대통령 입맛에 맞지 않는 특임검사를 수용할 수 없다는 꼼수를 부렸다”고 말했다.
의총이 끝나고 김 원내대표는 의원 70여명과 국회 본청 투쟁본부 옆 계단에서 별도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5월 국회가 정상화되면 추경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한다”며 “내일 데드라인까지 민주당과 협상이 성사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원내대표 회동 이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이 특검 거부를 교묘하게 조건부 수용으로 포장했다”고 비난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말로는 특검을 수용한다고 했지만, 사실상 야당이 받을 수 없는 수많은 전제와 조건을 내건 아주 교활한 제안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특검에 추가경정예산안 통과를 걸어놨지만 실은 추경안도 처리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면서 “당당하다면서도 김경수 의원과 청와대는 민주당에 책임을 떠넘기고 민주당은 특검을 거부하고, 서로 짜고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