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기에에서 온 박산호(좌 )씨와 박정술(우)








친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평생 안고 살아온 '벨기에 입양아들'. 이들이 성인이 되어 고향인 창원을 찾아 부모님에 대한 그리운 심정을 호소했다.
45년전 마산애리원에 남겨진 후 홀트아동복지회를 통해 벨기에로 입양됐던 박산호(48) 씨, 박정술(52) 씨가 현재 가족들과 함께 친부모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1일 오후 2시 창원시를 방문했다.
박산호 씨와 박정술 씨는 어린 시절 사진 등을 통해 조금이나마 친부모에 대해 알고 있는 시민들의 간절한 연락을 바라고 있다.
박산호 씨는 지난 1973년 8월 입양됐다. 박정술 씨는 1971년 3월 19일 마산애리원 남겨졌고 그해 9월 입양됐다.
박산호 씨는 현재 벨기에에서 아동입양기관 부회장을 맡고 있으며,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박정술씨는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2010년부터 한국을 방문해 친부모를 찾기 위해 홀트아동복지회, 마산애리원 등을 찾아 다녔으며, 전단지 등을 배포하며 핏줄을 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친부모에 대한 이력을 전혀 찾지 못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두 입양아의 안타까운 사연을 들은 이현규 창원시 제2부시장도 눈시울을 적셨으며, 부모를 찾을 수 있도록 창원시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창원시는 박산호 씨의 입양 전 기록 등을 토대로 언론사, 창원시보, SNS 등을 활용하여 친부모를 찾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또 창원중부경찰서 등 관계기관의 도움을 받아 DNA 등록을 했으며, 실종아동전문기관 등과도 연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