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저가아파트 가격차 7년여 만에 최대

[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전국의 저가아파트와 고가아파트의 가격차가 7년여 만에 최대로 커졌다. 저가아파트가 60여만원 내릴 때 고가아파트는 2000여만원이 올랐다.

4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가격 하위 20%(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1529만원으로 전월(1억1590만원) 대비 61만원 내린 반면, 상위 20%(5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6억9414만원으로 9월(6억7180만원)보다 2234만원 올랐다.

이에 따라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차를 나타내는 ‘전국 주택 5분위 배율’은 지난 9월 5.8에서 10월에 들어 6.0으로 커졌다. 이는 2011년 8월(6.0) 이후 7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차가 심하다고 간주한다.

이는 최근 들어 집값이 강세를 보이는 광주·대전·대구 등 지방 광역시와 경기도의 고가아파트 가격이 저가보다 많이 오르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탓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광주광역시의 1분위 아파트 가격은 평균 1억7만원으로 전월 대비 5만원 상승한 반면, 5분위 아파트 가격은 1676만원이 올라 평균 4억7351만원을 기록했다.

대전도 1분위 아파트값이 평균 1억309만원으로 전월 대비 11만원 오른 것에 비해 5분위 아파트값은 3억8298만원으로 1337만원이 올랐다.

대구는 1분위 아파트값(평균 1억2002만원)은 전월과 비슷하지만 학군 수요가 많은 수성구 일대 5분위 아파트 가격(5억816만원)은 9월보다 159만원 상승했다.

경기지역은 1분위 아파트값이 1억5804만원으로 9월과 비슷했으나 5분위는 5억8454만원으로 1585만원이 올랐다.

반면 9·13부동산 대책의 타깃인 서울은 강남권 고가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저가·고가 가격 차이가 줄었다.

서울지역 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4540만원으로 전월 대비 1341만원이 올랐으나, 5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16억4969만원으로 전월 대비 1404만원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