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 68.9%…전년 비 3.8%p 향상

  •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발표

[자료=과기정통부]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매년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장애인·장노년층·농어민·저소득층의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정보에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8.9%로, 전년(65.1%)대비 3.8%p 향상됐다.

조사 부문별로는,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은 91.1%, 역량은 59.1%, 활용은 67.7% 수준으로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역량 수준은 전년(51.9%)대비 7.2%p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대비 저소득층이 86.8%, 장애인이 74.6%, 농어민이 69.8%, 장노년층이 63.1%로 나타났다.

오용수 정보보호정책관은 “매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향상돼 디지털 정보격차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다만, 앞으로 실생활 중심의 모바일 교육을 확대하고, 무인단말기 같은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높임으로써 정보통신기술 발전의 혜택으로부터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포용(ICT for All)’ 실현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