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료원에 중증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응급의료병동이 들어선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료원에 들어서는 응급의료병동은 서울의료원 인근에 지상 3층 규모(연면적 3669.62㎡)로 들어선다. 오는 3월 4일 착공, 2020년 개관한다.
응급의료병동은 감염환자와 일반환자의 동선 사전 분리 및 감염확산방지 시설과 특수환자의 원활한 치료를 위한 고압산소치료실, 화상치료실 등 시설로 24시간 상시 응급의료체계를 갖추게 된다.
병동 1층은 응급환자, 중증환자, 소아환자 등을 위한 진료실, 2층은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를 치료하는 고압산소치료실, 3층은 중환자실이 들어선다.
평상시 재난상황 대비 및 지역 내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등 용도로 쓰일 예정이며, 중증 응급환자, 취약계층 및 중증환자를 위한 치료시설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제현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서울의료원은 시민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의료안전망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안정된 시설을 갖춰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료원에 들어서는 응급의료병동은 서울의료원 인근에 지상 3층 규모(연면적 3669.62㎡)로 들어선다. 오는 3월 4일 착공, 2020년 개관한다.
응급의료병동은 감염환자와 일반환자의 동선 사전 분리 및 감염확산방지 시설과 특수환자의 원활한 치료를 위한 고압산소치료실, 화상치료실 등 시설로 24시간 상시 응급의료체계를 갖추게 된다.
병동 1층은 응급환자, 중증환자, 소아환자 등을 위한 진료실, 2층은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를 치료하는 고압산소치료실, 3층은 중환자실이 들어선다.
한제현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서울의료원은 시민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의료안전망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안정된 시설을 갖춰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응급의료병동 조감도[사진 = 서울시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