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업계에 따르면, 20대와 70대 이상 조울증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 7만1687명이던 조울증 환자는 2017년 8만6706명으로 늘어났다. 연평균 4.9%환자가 늘어난 것이다.
조울증은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나 뇌 이상 등으로 발생한다.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는 없지만 환자의 임상증상과 심층면담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때문에 조울증이 의심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면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조울증은 증상이 안정됐더라도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꾸준한 약물치료가 중요하며, 정신치료도 함께 병행해야 한다.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사회적 갈등을 다루는데 도움을 준다.
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리듬에 큰 변동이 오면 기분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되도록 늦잠‧낮잠을 자지 않고 규칙적인 시간에 자고 일어나 낮의 활동을 늘려 햇빛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 좋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