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국무총리가 21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최운열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한 이 총리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오히려 저소득층이 일자리를 잃고 소득 양극화가 커졌다"는 이종배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그는 "임금 근로자에 국한해서 말씀드리면 임금 근로자의 임금 상승 폭이 늘었다"며 "임금 근로자 간 임금 격차가 완화됐고, 저임금 근로자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최저임금도 내기 어려운 소상공인들께는 경영 부담을 드렸고, 그로 인해서 그런 일자리마저 잃게 되신 분들이 있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경제 위기론에 대한 질의도 나왔다.
이 총리는 "국가신용등급은 사상 최고이고, 외화 보유액은 사상 최대다. 국가 부도 위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로 좋다"며 "내년 성장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1위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작년에는 미국 다음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더 세밀하고 정교한 경제 정책을 펴지 못해 고통받는 국민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설령 거시지표 가운데 낙관적인 것이 있더라도 그 때문에 그 그늘에서 고통을 당하는 국민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부가 외면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이 고통받지 않고 사시게 하는 게 정책 목표인데 현실에서는 고통받는 분들이 있다. 깊은 책임을 느끼고 몹시 가슴이 아프다.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소득주도성장을 포기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 총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소득주도성장에는 의료비 경감, 가계비 지출 감소, 사회안전망 확충도 있다"며 "그걸 포기해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성과는 유지하되 세밀하지 못해 생긴 부작용은 더 줄이겠다"고 말했다.
부유세 도입 방안에 대해서도 "고려 요소가 꽤 많다고 생각한다"며 "재작년에 최고 소득세를 42%로 올렸다. 그게 불과 1∼2년 전이기 때문에 조금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민주노총 소속 유성기업 노조원들의 임원 폭행 사건과 관련해서는 "이런 행동 방식으로는 다수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는 고언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며 "노동은 존중돼야 하지만 폭력이 정당화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동향에 대해서 그는 "그 동향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한미 양국이 아직 결론 내지 못했다"며 "북한이 현명한 판단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