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출신 퇴직자 낙하산·특혜 논란에 '재취업 매뉴얼' 만든다

  • 공직자윤리委, 이석준 전 국조실장 등 퇴직공직자 12명 재취업 불허


청와대가 퇴직 후 재취업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공익적 역할을 강조하는 취지의 매뉴얼을 마련하기로 했다.

앞서 청와대가 지난 3일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청와대는 "퇴직자의 국정보좌 경력을 활용해 사회공익적 역할을 하도록 컨설팅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이어 "엄정한 취업심사가 이뤄지도록 하는 등의 취업관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청와대 출신 직원들이 고연봉을 받고 민간기업으로 옮겨 가며 '낙하산', '특혜' 같은 논란이 제기된 것과 무관치 않다.

한정원 전 청와대 정무수석실 행정관은 지난달 메리츠금융지주 상무로 자리를 옮기게 됐다. 연봉은 1억5000만∼2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황현선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 또한 연봉이 2억원 이상으로 알려진 연합자산관리(유아코)의 상임감사로 가게 됐다.

최근 대통령경호처 소속 직원 2명도 민간기업과 공기업으로 영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날 공개한 취업심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청와대에서 공직을 마친 대통령경호처 소속 경호 4급 직원은 이달부터 부동산 임대업체인 ㈜비트플렉스에서 감사로 일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2017년 6월 청와대를 나온 대통령경호처 소속 경호 3급 직원은 이달 한국교통안전공단 비상임감사로 근무를 시작한다.

공직자윤리위는 최근 이들 포함, 퇴직공직자 80명의 취업을 심사해 총 12명의 재취업을 불허했다. 취업제한과 취업불승인 각 6명씩이다.

대표적으로 2017년 5월 퇴직한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은 한국블록체인협회 회장으로 재취업하려다 취업불승인 결정을 받았다.

취업불승인은 업무 관련성과 법에서 정한 '취업을 승인할 수 있는 특별한 사유'에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사진=청와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