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대출금리 5년 만에 최고…저소득층 이자부담 늘어

미국 금리인상 속도 완화 기대감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명목 대출금리가 하락하고 있지만 실제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 대출금리는 더욱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0%다. 이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이전인 2017년 9월(3.41%) 이후 최저치다.

은행 가계대출금리는 지난해 10월 3.64%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다.

그러나 실질금리는 반대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가계대출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2월 실질 은행 대출금리는 3.0%다. 2014년 2월(3.05%) 이후 최고치다.

실질 대출금리는 지난해 11월(1.63%)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실질 대출금리가 오른 것은 명목 대출금리 하락세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1월 2%대를 기록했으나 12월 1.3%, 올해 1월 0.8%, 2월 0.5%로 줄었다. 반면 명목 대출금리는 같은 기간 3.63%에서 3.50%로 0.13%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문제는 실질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가계와 기업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진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투자를 위축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금융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저소득층의 빚 부담이 더욱 늘어나면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수도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