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P·연합뉴스]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올해 들어 급등했던 중국 증시에 경고음이 들리고 있다. 최근 상승세가 급격히 꺾인 데다 주요 기업들의 실적도 부진했기 때문이다.
5일 데이터 제공업체인 윈드가 중국 3602개 상장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12.5%(452개)가 2018년도에 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전했다.
손실을 낸 기업의 비율인 12.5%는 역대 최대이다. 손실 기업수도 전년과 비교해 2배 늘었다.
상하이·선전 증시에 상장된 기업들의 순이익 총합은 3조3893억위안(약 586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 감소했다.
중국 기업들이 미·중 간의 무역분쟁 속에서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기술·미디어·이동통신 부문의 이익이 140% 급감하면서 타격이 가장 컸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기대만큼 효과를 내지 못한 점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지난달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4월 공식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1로 전달보다 떨어졌다. 중소 수출업체들의 경기를 주로 반영하는 차이신 제조업 PMI도 50.2로 시장 전망(50.9)과 전달(50.6) 수준보다 낮았다.
시장 전문가들도 중국 증시에 대한 낙관론에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들어 지난달 중순까지 중국 증시는 세계 어느 시장보다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중국 증시의 달러 환산 시가총액은 지난달 21일 7조6380억 달러(약 8917조원)까지 늘어 전년 말보다 2조3000억달러(약 2688조원) 증가했다.
지난 달 말 기준으로 보면 올해 증가율은 30%를 넘어선다. 미국(18%)보다 훨씬 높고 시총 200억달러 이상인 세계 58개국 중 가장 가파른 증가세다.
하지만 최근 1~2주 사이 중국 증시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상하이 종합지수는 월간 기준으로 지난달 0.4% 떨어졌다. 1월 3.6%, 2월 13.8%, 3월 5.1% 상승했다가 올해 처음으로 하락한 것이다.
주간 기준으로도 지난달 마지막 주(4월22∼26일) 5.6% 하락해 지난해 10월 중순(7.6%)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선비판 선전스프러스 캐피털매니지먼트 수석 전략가는 "추가 동력을 위해서는 강한 실적이나 경제 펀더멘털, 정책 변동이 필요한데 당장 가능한 것이 없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