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SK이노베이션에 대한 인력 빼가기 소송에 내부 직원들 반응은 '냉담'

  • "직원 처우부터 개선해야" 목소리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인력 빼가기'로 제소했지만 정작 내부에선 직원 처우에 인색했던 결과라는 뒷말이 나오고 있다.

7일 LG화학에 근무하는 한 직원은 "고소 비용으로 성과급만 맞춰 줬어도 이 사달이 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연봉에서 차이가 커 (대량 이직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사측은 자기반성부터 해야하지 않겠느냐"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직원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LG화학은 지난 달 29일(현지시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 SK이노베이션을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한 바 있다. 전기자동차의 핵심 소재인 2차전지 부문에서 자사의 고급 인력 76명과 함께 관련 기술을 빼앗겼다는 것이다.

실제 배터리업계에선 국내 1위인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에 비해 보상을 적게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LG화학이 연초 배터리부문 직원들에게 월 기본급의 최대 500%를 인센티브로 제공했으나, 지난해에는 200% 그쳤다"면서 "반면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은 850%, 1000%를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연봉 격차는 더 벌어졌다. LG화학은 신입 초봉의 경우 SK이노베이션(3800만원)보다 930만원(24.5%) 많은 4730만원을 지급했으나,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직원 평균 연봉으로는 8800만원에 그쳤다. 1억2800만원인 SK이노베이션보다 4000만원(31.25%)이나 적은 수치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실적에 맞는 보상 체계 확립이 인력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배터리부문을 키우기 위해 인력 충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회사의 충성도만을 강조하기 보다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를 합리적으로 제시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G화학 기업로고(CI). [사진 제공= LG화학]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