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최영빈 서울대 교수, 최진호 단국대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 주사바늘 없이 근적외선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생체이식 장치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근적외선’은 적외선 중 가시광선에 가까운 빛이다. 공업용‧의료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연구진은 밀봉된 여러 개의 약물저장소를 피부에 이식하고, 근적외선을 쪼여주어 하나씩 약물이 방출되는 장치를 개발했다.
개발된 장치를 몸속에 이식한 뒤 외부 장치를 이용해 피부 밖에서 근적외선을 인가해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근적외선에 의해 체내 장치에서 약물저장소의 막이 선택적으로 파열되면서 일정량의 약물(성장호르몬 등)이 체내로 전달되도록 구성됐다.

근적외선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설명 이미지.[사진= 한국연구재단]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근적외선으로 약물 투여가 가능한 체내 이식형 디바이스는 만성질병으로 장기간, 반복적 주사 약물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불편함을 크게 덜어줄 수 있는 신개념 의료기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과학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5월 23일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