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철우(27) 씨가 주한 일본 대사관 앞 사람들 사이에서 일본 경제보복에 대해 1인 시위 중이다.[사진=정석준 수습기자]
정 씨가 속한 '겨레하나'는 지난 3일부터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반대하는 시위를 펼치고있다. 그는 이번 시위가 "일본 정부가 단 한 마디도 피해자들에게 사과와 배상을 하고 있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아내는 자리"라고 소개했다.
그와 뜻을 함께하는 시민들은 매일 최소 1시간씩 일본대사관, 명동 유니클로, 용산 강제징용상 앞 등에서 1인 시위에 나서고 있다.

철우씨의 다리는 1시간 동안 고정돼있었다.[사진=정석준 수습기자]
그는 일본대사관 앞에 서 있지만 일본인들의 반응을 모른다.
실제 한국에 관광을 온 일본인들에게 일본의 무역규제는 관심 사항이 아니었다. 일본인 여행객 코무로(22·여) 씨는 “전혀 몰랐다”며 “어떤 걸 수출 규제하는 겁니까?”라며 반문했다. 이노우에(22·여) 씨는 4일부터 시행된 규제에 관해 “인터뷰를 위해 좀 찾아봐도 될까요?”라며 낮은 관심을 표현했다.
이번 제재는 일본 내에서도 비난 여론에 부딪히고 있다. 일본 유력 일간지 마이니치신문은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통상국가의 이익을 손상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일본이 중시해온 자유무역의 원칙을 왜곡했다”고 일본 정부를 지적했다. 아사히신문도 ‘보복을 즉시 철회하라’는 사설을 통해 G20 앞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외치고 뒤에서 ‘내로남불 수출규제’를 선언한 아베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일본이 한국에 대한 반도체 부품 수출 규제를 지난 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2018년 10월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의하면 일본 기업은 1인당 1억 원씩 배상해야 한다. 그러나 최종 판결 9개월 만에 나온 건 배상이 아닌 보복이다.
앞선 정 씨는 “아베에게 이게 과연 공정 무역인가라고 되묻고 싶다”고 말하며 분노를 표했다. 그는 “아베가 강제징역문제의 보복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그전까지 일본 정부의 태도를 볼 때 강제징용과 식민지배 역사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며 “일본의 행위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사진=정석준 수습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