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참석한 의원들은 윤 후보자의 자료제출에 관한 공방만 이어갔다. 청문회에 참가한 윤 후보자는 모두발언으로 "검찰이 국민의 공복임을 한시도 잊지 않고 국민의 입장에서 무엇이 최선인지 살펴 검찰의 조직과 제도, 체질과 문화를 과감하게 바꿔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의사진행 발언에서는 김진태 한국당 의원부터 자료제출의 고삐를 조이기 시작했다. 김 의원은 "후보자가 국민과 함께 하는 검찰이라고 하는데 우리 야당은 국민도 아닌가"라면서 자료요청과 핵심증인의 출석에 관해 윤 후보자를 압박했다. 핵심 증인은 윤대진 법무부 검찰국장의 친형인 윤우진 용산 전 세무서장이다.
이어 김 의원은 자료없는 청문회는 의미가 없다고 일갈하면서 국회를 이렇게 무시해도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야 의원들은 이 같은 의견을 의사진행 발언 순서동안 꾸준히 반복하며 논쟁을 이어갔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은 윤 후보자의 시력 문제인 부동시에 관련해 집중 추궁했다. 문제는 윤 후보자가 시력에 관련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오 의원은 국회의 안경점에 가서 얼마든지 시력 측정이 가능하다고 촉구했다.
이은재 한국당 의원은 야당의 자료 요구가 후보자 망신주기라고 규정하는 여당의 의견에 관해 고위공직자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청렴성 공정성 의혹 해소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주광덕 한국당 의원도 윤우진 전 세무서장의 행보를 거론하며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치공세 말고 팩트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또 의사진행 발언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황교안 한국당 대표와 최교일 한국당 의원도 거론됐다. 황 대표는 윤 후보자의 측근 비리 의혹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으며 최 의원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담당 결재권자라는 게 민주당의 주장이었다. 이에 검찰 조직의 결재 상황까지 언급되며 여야 의원들은 공방을 이어갔다.
또 지난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벌어진 여야 의원들의 충돌을 두고 서로 고발·고소 당사자라는 주장을 펼치며 목소리를 높였다.
비슷한 이야기가 반복되자 여상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은 논쟁을 중단시키고 윤 후보자에게 오후 1시까지 자료를 다 제출해달라고 당부했다.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가 8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