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대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설훈·우상호 의원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국회의원 연구단체 '한반도경제문화포럼' 초청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김한정 민주당 의원이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한반도 정세와 중국의 대(對) 한반도 정책'을 주제로 진행된 강연에서 그는 "비핵화 국면에서는 북미가 중심이지만 한국과 중국이 뒤에서 역할 하면서 지원해가면 (더 좋은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 "그간의 역할들이 앞으로도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추 대사는"(이번 회동의 성사는) 북미 정상의 결단과 용기와 뗄 수 없다"면서도 "(한반도가 평화 국면을 맞게 된 것은) 중한 양국 관계와도 뗄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비핵화 문제에서의 한중 양국의 기여와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국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한반도 문제에서 협력 조력 강화를 원한다.
그래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입장을 조율해 나가서 (한중이 북미 사이에서) 윤활유 역할 해나가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추 대사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일을 막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 수호에 역점을 두는 게 중국의 관심사"라면서도 "중국은 종전협정의 합의의 당사자로서 평화협정 당연히 참여할 것"이라며 한반도 정세에서의 존재감을 강조하기도 했다.
아울러 그는 한중 간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갈등 문제에 대해서는 "사드 문제가 한중 관계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너무 과장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추 대사는 "특히 한중 무역 총액은 사드 영향으로 한중관계가 조금 어려웠을 때에도 상승했고, 글로벌 기준으로 보면 훨씬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관광 교류가 부진했지만 이미 개선돼 반전궤도에 오른 만큼 빠른시간 내에 회복되기를 기대한다"며 "과거 최상 시기로 복귀하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그 초월도 가능하다. 양국이 인내심을 갖고 같이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이날 특강 사회는 한반도경제·문화포럼 책임연구의원인 김한정 의원이 맡았으며, 이인영 원내대표를 포함한 국회의원 15여 명과 중국 대사관측 인사들이 참석해 진행됐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이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추궈홍 주한중국대사 초청 '한반도 정세와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 강연회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2019.7.10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