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석유공사 전경. [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에 따르면 석유공사 관리직 직원 19명은 이날 오전 9시 고용노동부 업무가 시작되자마자 울산지청 민원실에 '사측 부당한 처사를 조사해 달라'는 취지의 진정서를 제출했다.
석유공사에서 20~30년간 근무해 온 이들은 지난해 3월 양수영 사장 취임 이후 인사평가에서 최하위 점수를 받으면서 '전문위원'이라는 명목으로 2∼3등씩 강등된 3급 이상 직원들이다. 이들 직원은 청사 별도 사무실 한곳에 격리된 채 별다른 업무를 받지 못해 왔다. 최근 몇달 전부터는 일부 전문위원들의 경우 부서별로 배치됐지만, 후배들 앞에서 홀대를 받아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 전문위원들은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 전보 구제 신청'을 제기한 끝에 지난 6월27일 부당 전보 판정을 받았지만, 사측은 이에 불복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판정을 요구해 놓은 상태다.
한 전문위원은 "과거 정권의 자원외교 실패 책임을 오래 동안 직장을 다닌 직원들에게 떠넘기면서, 합리적인 잣대 없이 직급까지 강등시켜 '전문위원'으로 옭아맨 뒤 매월 혼자서 하는 과제를 제출토록 하는 등 회사가 일방적으로 괴롭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석유공사에서는 지난 1월 이들을 포함한 3급(팀장급) 이상 간부급 직원 40여명이 공사 측 대규모 인력감축 방침에 대비해 제2 노조를 설립하기도 했다.
석유공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년께부터 해외개발이 무리하게 진행하면서 지난해말 기준 부채비율이 무려 2287%(부채 규모 17조4749억원)에 달할 정도로 경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전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강력한 자구노력을 담은 '비상경영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