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수 도지사가 지난 1일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일본 수출규제 대응방안 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사진=경남도 제공]
여기에는 기업이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는지의 막막함을 해소해 주기 위해 경남테크노파크와 한국기계산업진흥원 영남지사, 경남중소벤처기업청, 경남무역, 경남KOTRA, 무역협회 경남본부, 창원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센터는 전략물자관리원, 수출규제 애로신고센터(중기부), 소재부품 수급 대응 지원센터(산업부) 등과도 네트워크를 형성해 시·군과 정보를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경상도는 문승욱 경제부지사 주재로 5일 오후 3시30분 시·군 부단체장 영상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회의는 지난 3일 열린 행정안전부장관 주재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에서 논의한 정부의 대응방안을 시군과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문승욱 경제부지사는 3일행정안전부장관 주재로 열린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에 따른 비상외교‧경제 지방대책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에서 소재부품 실증예산(1000억원 정도)을 소재부품기업이 많은 경남도에 우선 배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한편, 경남도는 정부의 추경예산이 통과됨에 따라 시군의 대응 추경예산과 지방재정을 신속히 집행해 줄 것을 협조 요청키로 했다. 경남도는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제366회 임시회(8월28~9월6일)에 상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