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는 남구 호동에 위치한 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 운영과 관련해 인근 주민들이 제기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민·관협의회를 구성, 지난 6일 SRF시설 홍보관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포항시 제공]
민·관협의회는 오천읍, 청림동, 제철동 주민대표(9명), 지역구 시의원(2명), 대학교수 등의 전문가(6명), 운영사(1명), 공무원(4명), 사회단체(3명) 등 25명으로 구성됐다.
주민과 포항시의 소통창구 역할과 SRF시설에 대한 주요 민원을 전문가와 더불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해결코자 포항시에서 민관협의회 구성을 주민대표에게 제안하였고, 주민대표들이 참여함으로써 첫발을 내디디게 됐다.
포항시 SRF시설은 지난 2월18일부터 상업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인근지역민들은 SRF시설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에 대한 우려, SRF시설의 굴뚝높이가 34m(해발 66m)로 낮아 대기확산이 원활하지 않아 인근주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주장, 환경영향평가서서상의 유효굴뚝높이에 대한 실증을 요구하는 민원이 있다,
SRF시설의 유효굴뚝높이 검증에 대하여는 운영사인 포항이앤이(주)에서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으로 연기의 상승고도를 측정하는 제안과 전문가 의견으로는 굴뚝에 추적물질을 투입해 배출되는 추적물질을 대기 중에서 측정해 연기 상승효과를 검증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협의회는 차기 협의회 개최까지 주민대표 및 전문가들이 경제적이면서 확실히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검토한 후 실증방법을 결정하기로 했다.
또, SRF시설의 ‘다이옥신’ 관리를 위해 상시 감시모니터링 시스템 도입과 SRF시설 주변지역에 대한 ‘다이옥신’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해 주민들의 건강상에 영향이 없는지를 조사하자는 의견이 있어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지역을 추천받아 시행하기로 했다.
첫 회 위원장을 맡은 포항시 송경창 부시장은 “SRF시설은 생활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 자원 회수 차원에서 도입된 시설로 지역주민에게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최신의 공법을 적용해 설치된 시설이나, 인근 주민들이 많은 우려를 하고 있는 만큼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