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다시는 지지 않겠다'며 강경한 '극일'(克日) 메시지를 설파했던 더불어민주당은 8일 수위 조절에 나섰다.
민주당 의원들은 잇따라 일본·일본인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끄는 일본 정부를 따로 놓고 봐야 한다며 '노 재팬'(NO JAPAN) 대신 '노 아베'라는 최근 여론 흐름에 보조를 맞추는 분위기다.
임종성 원내부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임팔 전투'를 언급하며 "아베 총리가 후대에 실책보다 업적으로 기억되기를 원한다면 이 사실(임팔 전투)을 꼭 기억하기 바란다"며 "'노 일본'이 아닌 '노 아베'"라고 말했다.
박찬대 원내대변인 역시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일본 전체를 상대로 하는 '노 재팬'이 아닌 '노 아베'로 가는 게 적절하다"며 "일본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아베 정부의 행동에 대해서 구별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첫 회의를 가진 당 '소재·부품·장비·인력 발전 특별위원회'에서도 일본에 대한 감정적 대응 대신 정책대안 마련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 나왔다.
정세균 위원장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닥터헬기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감정적 처방보다는 냉정하고 합리적인 자세로 대안을 제시하고 국민의 단합된 힘을 모아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설훈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일본 아베 정부의 부당한 경제보복에 우리 국민들께서 현명하게 대처하고 계시다"며 "'노 재팬이 아닌 노 아베' 옳으신 말씀"이라고 썼다.
당내 대표적 강경파로 분류되는 정청래 전 의원은 중구청 배너 논란이 인 지난 6일 민주당 공식 유튜브 채널 '씀:싸이다 라이브'에 출연해 "우리가 일본 정권의 정책에 대해서 반대하는 것이지 일본 사람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언급했다.
최근 당 소속 서양호 서울 중구청장이 '노 재팬' 배너로 여론의 뭇매를 맞는 등 일부 정치권의 반일 발언이 도를 넘자, 당 차원에서 역풍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며 단속에 들어간 것이다.
특히 일본이 여기에 이미 지난 달 대한(對韓) 수출 규제 대상으로 지목했던 3개 핵심 소재 중 일부 품목에 대한 수출을 허가하는 등 전에 비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우리 정부도 스텔스 모드에 돌입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해 비공개 논의를 진행했다. 성급하게 판단하기 보다는 신중하게 지켜보며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의미다.
이 총리는 이날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일본의 이 같은 움직임을 자세하게 언급하면서도 경계를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일본경제침략대책특위 위원장이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8.8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