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핵담판'을 위한 북·미 예비접촉이 임박했다. 북·미 양국은 4일(현지시간) 제3차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예비접촉을 한다. 오는 5일에는 실무협상에 나선다. 이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가 중대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북·미 실무 협상 차 스웨덴을 찾은 북한 대표단은 이날 오전 9시 40분께 스톡홀름 외곽의 스웨덴 주재 북한 대사관을 빠져나갔다.
예비접촉에 나서는 북측 인사는 공식 확인되지 않았지만, 권정근 전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과 정남혁 북한 미국연구소 연구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구체적인 일시와 접촉 장소는 '오리무중'이다.
앞서 북측 협상 대표인 김명길 외무성 순회대사 등은 전날 중국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을 거쳐 오후 5시 40분께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스톡홀름은 '하노이 회담'을 앞둔 지난 1월 남·북·미 북핵 수석대표가 '합숙 담판'을 벌인 장소다.
이번 예비접촉 다음 날 실무협상에 나서는 카운터 파트너는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될 전망이다. 이들이 핵담판장에서 마주 앉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북·미 실무 협상 차 스웨덴을 찾은 북한 대표단은 이날 오전 9시 40분께 스톡홀름 외곽의 스웨덴 주재 북한 대사관을 빠져나갔다.
예비접촉에 나서는 북측 인사는 공식 확인되지 않았지만, 권정근 전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과 정남혁 북한 미국연구소 연구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구체적인 일시와 접촉 장소는 '오리무중'이다.

북미 실무협상을 위해 스웨덴을 찾은 북한 대표단이 4일(현지시간) 스톡홀름 외곽 북한대사관에서 나가고 있다. 권정근 전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정남혁 북한 미국연구소 연구사 등 6명은 북미 예비접촉이 예정된 이날 오전 9시40분께 북한대사관에서 나와 검정색 승합차를 타고 출발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예비접촉 다음 날 실무협상에 나서는 카운터 파트너는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될 전망이다. 이들이 핵담판장에서 마주 앉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