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파크란 중기부가 추진하는 창업 집적 공간 조성 사업으로서 국비 총 120억7700만원이 올해 들어갔다. 지원은 1개 지역 '인천시'에 돌아갔다. 인천은 창업자·투자자·대학 및 연구기관 등 혁신주체가 열린 공간에서 네트워킹 하는 창업 집적 공간을 갖게 됐다.
그러나 홍 의원은 중기부가 사업 전에 밝혔던 사업추진원칙 은 4가지 정도였는데 (개방성, 집적화, 지속가능성, ‘지역 거점별 조성) 8일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중기부가 인천시를 스타트업 파크 사업 지원지로 선택한 것은 4번째 원칙인 ‘지역 거점별 조성’이라는 사업 원칙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선정지로 인천시 외 탈락 한 도시는 7개 지역(경남, 경북, 대구, 대전, 부산,서울, 충남) 이며 중기부는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추진여부 등 결정 계획이 있다고 했으나 현재 내년 스타트업 파크에 편성 해놓은 예산은 설계용역비 5억원이 전부다.
창업·벤처기업의 수도권 선호현상 및 정부의 대규모 투자(판교테크노밸리 등)로 인한 창업기업의 수도권 쏠림현상 완화를 위해 비수도권 창업거점 필요하다고 홍 의원은 지적했다. 또 그는 이러한 제조창업은 국가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토대라고 덧붙였다.
제조창업은 연도별 창업고용의 15%를 차지하고 있고, 국가 순 고용증가의 30% 내외를 점유하고 있는 실정(국토연구원)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대구와 같은 비수도권의 경우 제조창업의 고용효과가 지역 전체 고용변화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
홍 의원은 대구가 첨단 제조창업(로봇, 자율자동차 등) 육성 거점으로 최적지였다며 달성군 4km내 정부출연연 3개, 10km내 전문연구기관 2개, 3개의 대학이 집적되어 있으며, 540여개의 기업과 함께 공동 기술사업화 및 스핀오프가 가능했던 점도 강조했다.
홍의락 의원은 창업·벤처기업의 수도권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주도 창업정책거점 마저 수도권에 집중된다면 현 정부국책 사업인 국가 균형발전을 저해한다고 생각한다고 박영선 장관
에게 입장을 밝혔다.

홍의락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