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에서는 이낙연 국무총리,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이 잠룡으로 꼽힌다. 다만 총리, 광역단체장 등은 적극적인 선거운동에 개입할 수 없다는 한계는 있다.
특히 이 총리의 경우 내년 총선까지 총리직을 이어갈 경우 ‘엄정한 선거관리’ 의무가 주어져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 일각에선 이 총리를 당에 복귀 시켜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기는 등 총선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 총리가 전면에 나서 승리를 견인한다면 대권으로 향하는 급행 티켓을 손에 쥘 것으로 보인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김부겸 의원도 여권의 잠룡으로 꼽힌다.
임 전 실장의 경우 올해 초 서울 종로로 이사해 종로 출마설이 나온다. 현재 중구·성동구에 도전장을 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의원은 총선에 올인 중이다. 민주당의 험지인 대구 수성갑에서 또다시 금배지를 단다면 김 의원의 당내 입지는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에선 단연 황교안 대표의 독주 체제가 견고하다. 황 대표에게 이번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야만 대권행 열차에 탑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역구 후보로 출마해 개인 선거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한국당 승리까지 이끈다면 날개를 단다. 그러나 총선에서 패배한다면 황 대표는 당장 당대표 유지가 어려워지고 대권 행보에도 빨간불이 켜질 예정이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경우 서울 광진을 당협위원장으로 표밭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광진을을 추미애 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로 한국당의 대표적 험지로 꼽힌다.
이번 총선에서 추 의원을 꺾고 승리한다면 황 대표와 맞설 수 있는 보수진영의 유력 주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김병준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대구, 김태호 전 경남지사는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 홍준표 전 대표는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출마가 점쳐진다.
바른미래당의 유력 대선주자는 안철수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이다. 유 의원은 최근 당내 비당권파 모임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대표를 맡았다.
유 의원은 지역구인 대구 동구을 출마를 고수한다. 다만 지역 여론이 한국당에 기울어져 있어 승리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안 전 의원은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 패배 이후 지난해 9월 독일로 출국한 뒤 1년이 넘도록 해외에 머물고 있다.
최근 정계복귀설이 나오기도 했지만, 안 전 의원은 ‘러브콜’을 뿌리치고 미국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안 전 의원이 총선 국면에서 정치복귀를 선언할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총선을 앞두고 야권 재편이 본격화되면 어떤 형태로든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