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측 시설 철거 발언으로 촉발된 금강산 관광 문제와 관련해 "관광 대가를 북한에 지급하는 것은 제재 위반이 될 수 있다"며 "기존의 관광 방식은 안보리 제재 때문에 계속 되풀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녹지원에서 가진 출입기자 초청행사에서 '김 위원장이 금강산 관광 문제를 언급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고 묻자 이같이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관광 자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위반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 초강수 발언에 대해 "국민 정서에 배치될 수 있다"며 "남북관계를 훼손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현존하는 핵무기를 포기한다고 확실히 말한 적이 있나'라고 묻자, "남북 간에 말하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말은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수준과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김 위원장이 바라는 조건을 미국이 대화를 통해 받쳐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23일 금강산관광 시설에 대해 "민족성이라는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관리가 되지 않아 남루하기 그지없다" 등의 표현을 쓰며 선친인 김정일의 '대남 의존 정책'을 비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녹지원에서 가진 출입기자 초청행사에서 '김 위원장이 금강산 관광 문제를 언급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고 묻자 이같이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관광 자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위반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 초강수 발언에 대해 "국민 정서에 배치될 수 있다"며 "남북관계를 훼손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가운데)이 25일 청와대 녹지원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초청행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
그러면서 "문제는 김 위원장이 바라는 조건을 미국이 대화를 통해 받쳐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23일 금강산관광 시설에 대해 "민족성이라는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관리가 되지 않아 남루하기 그지없다" 등의 표현을 쓰며 선친인 김정일의 '대남 의존 정책'을 비판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