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5회 국제개별화의료학회에서 도쿄종양내과의 아베 히류유키 박사가 암 면역치료 모니터링에 'cfDNA(cell-free DNA)'의 유용성을 발표하고 있다.
日 국제개별화의료학회가 제25회 학술집회를 일본 적십자본사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학회의 주제는 ‘게놈의료는 현실화될 것인가’다.
도쿄종양내과의 아베 히류유키 박사가 암 면역치료 모니터링에 'cfDNA(cell-free DNA)'의 유용성을 발표해 관심을 끌었다.
이달 20일 개최된 학회는 게놈의료의 방향과 의과학적, 사회적, 윤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개별화의료를 가속화하는 해석 및 진단기술의 발전 등 게놈 의료와 개별화 의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진행됐다.
도쿄종양내과 아베 히로유키 박사 연구팀은 주제발표를 통해 일반인 81명과 암 환자 806명의 말초혈액에서 ‘cfDNA’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일반인보다 암환자의 cfDNA 수치가 높았으며, 암의 진행도에 따라서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진행성 4기로 진단된 환자들은 높은 수치를 보였고 암 환자에게 면역세포치료를 한 결과 치료 2~3개월 후 cfDNA 수치 감소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cfDNA 농도 측정이 영상진단과 같이 진행성 암의 치료효과 판정에 유익할 것이라고 했다.
아베 박사는 "2015년 11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3기 이상 암 환자 128명에게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를 시행한 결과, 관해(寬解) 와 부분 관해 35명(27.4%), 장기불변을 포함한 83명(64.9%)에서 유효한 치료효과가 있었고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3기 이상 암 환자 68명에게 HSP 암 항원을 추가한 치료에서는 관해 및 부분 관해 31명(45.6%), 장기 불변을 포함한 51명(75%)에서 유효한 치료 효과를 얻었다"고 올해 제4회 임상면역백신포럼에서 발표한 바 있다.
그는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 치료는 개인별 면역저해작용과 암의 다양성, 암세포의 위장·회피능력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별 검사 후 개인에 맞는 암 항원을 4~8종류 면역세포치료에 추가로 사용한 결과 면역세포만 단순 배양하여 치료할 때보다 치료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어 "면역세포치료는 부작용이 없는 암 치료법이지만 알부민 수치가 낮고 영양상태가 좋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아베 박사의 연구결과는 지난해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발간하는 '난소암의 면역치료' 학술지에 '난소암 대상 HSP 암 항원을 이용한 면역세포 치료'라는 제목으로 실리기도 했다.
아베 박사 연구팀의 치료방식은 수지상세포의 기초가 되는 단구(單球) 증식기술 개발에 성공해 소량(25mL) 채혈만으로 수지상세포 백신치료제(Abe Vax)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기술은 세계 10여 개국에 특허 등록됐다.
도쿄종양내과는 일본 후생성으로부터 허가된 면역치료 전문병원으로 2002년부터 면역세포치료를 하고 있다. (주)선진바이오텍은 도쿄종양내과의 면역치료와 임상연구에 공동 참여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