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25일 충북 청주시에서 열린 ‘765kV 신중부변전소 및 송전선로 준공식’에서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전력]
한국전력이 전기료 특례할인 제도를 일제히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적자 폭을 보전하려는 방편으로 해석된다.
한전 등에 따르면 김종갑 사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온갖 할인 제도가 전기요금에 포함돼 누더기가 됐다”면서 “새로운 특례할인은 없어야 하고, 운영 중인 한시적 특례는 모두 일몰시키겠다”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전기차 특례할인을 예로 들며 “할인 없이 요금을 다 받아도 휘발유 가격의 32%에 불과한데, 지금은 할인 때문에 휘발유 가격의 7%밖에 안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기요금 원가 공개와 관련해서는 “정부와 용도별 요금 원가 공개를 협의하고 있다”면서 “야단을 맞더라도 (주택용, 산업용 등) 용도별 원가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내년 상반기까지 필수사용량 공제 폐지와 계절·시간별 요금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제세 부과금 제도도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전력의 수익성 저하와 차입금 증가로 인한 재무 부담이 우려된다며 자체 신용도(SACP)를 ‘BBB’에서 ‘BBB-’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S&P는 “계속되는 발전 원가 부담에도 한국의 전기요금 체계가 향후 12∼24개월 동안 크게 변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한국 정부는 2016년 이후 발전 원가 급등에도 전기요금을 조정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S&P는 또 “한전의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2019∼2020년 10조∼12조원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2015∼2016년 약 20조원이었던 것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전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때 정부 특별지원을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며 장기와 단기 기업 신용등급을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과 같은 ‘AA’와 ‘A-1+’로 유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