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오픈마켓 판매 지원


전라남도가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판로를 개척하려고 인터넷 열린장터(오픈마켓) 입점, 벼룩시장(플리마켓) 참가 지원사업을 벌인다.

1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오픈마켓은 11번가, 쿠팡, 옥션, G마켓, 네이버스토어 등에 제품을 입점·판매하는 것이다.

생산업체와 판매자 간 중간 유통마진 없이 직접 구매자에게 제품을 판매해 상품 가격과 판매 수수료가 싸고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

전라남도는 이미 전남사회적경제기업의 400여 가지 제품을 주요 쇼핑몰에 입점했다.

앞으로 목표 품목을 정해 제품 광고, 할인이벤트 등 홍보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플리마켓은 자유롭게 물건의 매매·교환이 이뤄지는 시장이다.

광주·전남뿐 아니라 수도권 등 전국단위로 열리는 오프라인 장터다.

 

전남도청[사진=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올해 플리마켓 일정과 기업의 참가 수요를 파악해 기업에 셀러 참가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시범적으로 참가 기업의 홍보 효과와 매출 등 수익성을 분석해 2020년 확대할 방침이다.

김회필 전라남도 사회적경제과장은 “기업 현장 방문이나 간담회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면서, 판로 개척을 위한 사업을 고민해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내년에는 판로 관련 예산을 확대, 폭넓은 판로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수익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전남에서는 올해 10월 말 기준 사회적기업 196개, 마을기업 245개, 협동조합 792개, 자활기업 82개 등 총 1315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전라남도는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개척을 위해 제품의 농협 입점 추진, 품평회·상담회 개최, 전문가 초청 컨설팅 및 맞춤형교육, 아웃렛 등 대형유통망 연계 판촉행사 개최 등 다각적 판로 지원정책을 벌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