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모빌리티 서비스 전문법인 ‘모션 랩’을 설립하고 로스앤젤레스(LA)시와 미래 모빌리티 사업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미국에서도 본격적인 사업에 나서는 셈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실현할 전략적 거점 확보와 더불어 투자에 적극 나선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3월 인도 최대 차량호출업체인 올라(Ola)와 ‘투자 및 전략적 사업 협력’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인도 모빌리티 시장에서 상호 다각적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2억4000만 달러, 6000만 달러씩 총 3억 달러를 이 회사에 투자했다.
현대차그룹은 차량 호출 서비스 실증 사업을 위해 싱가포르 지역을 우선으로 ‘그랩’에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200대를 공급했다. 현대차그룹은 ‘그랩’이 진출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실증 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는 미국과 호주의 모빌리티 플랫폼 업체인 '미고(Migo)', '카 넥스트 도어(Car Next Door)'에도 전략 투자를 단행하고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또 현대차그룹은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스콜코보 혁신센터'와 함께 준비한 차량 구독 서비스 '현대 모빌리티'를 최근 개시했고, 아랍에미리트(UAE)의 최대 차량 호출 서비스 업체인 ‘카림’에 올해 안에 총 5000대의 차량을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서울과 제주도, 대전 등 지역에서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를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플랫폼인 '제트(ZET)' 구축을 마치고 중소 운영업체들과 협력해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내 라스트마일 물류업체 메쉬코리아와 마카롱 택시를 운영하는 KST모빌리티에 전략투자하고 한국형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유망한 글로벌 모빌리티 업체를 계속 발굴해 협업하고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과 공유경제를 결합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각) 현대차 윤경림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사업부장(부사장)과 에릭 가세티(Eric Garcetti) LA 시장이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