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데이터·나이스디앤비 발명 평가기관 지정…IP금융 활성화에 앞장

  • 한국기업데이터·나이스디앤비 발명 평가기관 지정

[사진=나이스디앤비]

정부가 민간 주도의 지식재산(IP) 금융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 전문 기관인 '한국기업데이터'와 기업신용정보 제공 기업인 '나이스디앤비'를 발명 평가 기관으로 추가 지정했다. 

26일 특허청에 따르면 26일 발명 평가 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기업데이터와 나이스디앤비는 IP금융과 연계한 평가수요와 민간 주도의 IP평가시장 활성화에 앞장선다. 

[사진=한국기업데이터 홈페이지]

발명 평가기관은 발명진흥법에 따라 IP의 기술성과 사업성 등을 평가해 가치금액을 산정하는 전문기관이다. 이번 추가 지정으로 한국기계전기전자 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화학융합 시험연구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기술보증기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발명진흥회, 특허법인 다래, 윕스, 특허법인 다나, 나이스평가정보, 이크레더블, 신용보증기금, 특허법인 도담, 케이티지 등 총 20개 평가기관(공공기관 11개, 민간기관 9개)이 발명 평가기관으로 운영된다.   

평가기관의 평가결과는 IP를 기초로 은행이 담보대출을 시행하거나 투자기관이 투자규모 등을 결정하는데 주로 활용된다. IP거래와 IP현물출자, IP사업타당성 분석 등 사업화 과정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간 IP가치평가는 공공 평가기관 주도하에 수행돼 왔다. 최근 시중은행의 IP담보대출 확대에 따라 우수 IP보유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평가수요가 증가하면서 민간 평가기관의 실적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이 주도하는 평가시장이 조성되고, 민간 경쟁체제를 통한 평가기관 전반의 역량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특허청은 평가기관 신청·접수, 신청기관 현장실사, 전문가 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민간 기관 2곳을 발명의 평가기관으로 신규 지정하게 됐다.

박호형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IP를 기반으로 금융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발명의 평가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평가역량 및 경험이 풍부한 민간 기관을 중심으로 평가기관을 육성하여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IP금융이 활성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