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멤버십 제도를 개편해 모든 등급에 포인트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새로운 멤버십 제도는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내년 1월부터 U+멤버십 전 등급에게 멤버십 포인트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현재 △VIP+ 12만포인트 △다이아몬드+ 10만 포인트 △골드+ 7만 포인트 △일반+ 5만 포인트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이번 제도 개편으로 대부분의 U+멤버십 고객들이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의 멤버십 최저등급인 일반+는 모바일, IPTV, 인터넷 등 5가지 상품의 연간 납부액이 15만원 이상일 경우 부여된다. 이는 월 1만2000원 수준이다. 그동안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5만 포인트 이내에서 할인받을 혜택을 골라야 했지만 무제한 포인트가 제공되면 잔여 포인트를 신경쓰지 않고 각종 할인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는 포인트 개편과 더불어 VIP+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VVIP+ 등급도 신설한다. 10만5000원 이상 5G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 또는 연간 200만원 이상의 요금을 납부하는 고객이 대상이다. 이 밖에도 '나만의 콕'은 기존 푸드콕과 쇼핑콕, 교통&레저콕, 데이터 선물콕을 하나로 통합해 '라이프콕'을 신설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멤버십 제도를 개편하게 됐다"며 "등급별 상세 혜택 등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내년 1월부터 U+멤버십 전 등급에게 멤버십 포인트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현재 △VIP+ 12만포인트 △다이아몬드+ 10만 포인트 △골드+ 7만 포인트 △일반+ 5만 포인트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이번 제도 개편으로 대부분의 U+멤버십 고객들이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의 멤버십 최저등급인 일반+는 모바일, IPTV, 인터넷 등 5가지 상품의 연간 납부액이 15만원 이상일 경우 부여된다. 이는 월 1만2000원 수준이다. 그동안 일반 등급 고객의 경우 5만 포인트 이내에서 할인받을 혜택을 골라야 했지만 무제한 포인트가 제공되면 잔여 포인트를 신경쓰지 않고 각종 할인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는 포인트 개편과 더불어 VIP+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VVIP+ 등급도 신설한다. 10만5000원 이상 5G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 또는 연간 200만원 이상의 요금을 납부하는 고객이 대상이다. 이 밖에도 '나만의 콕'은 기존 푸드콕과 쇼핑콕, 교통&레저콕, 데이터 선물콕을 하나로 통합해 '라이프콕'을 신설했다.

[LG유플러스 이미지]
또한 등급에 관계없이 전 고객을 대상으로 4월부터 매달 'T 데이'를 실시하고 있다. T데이는 매월 첫째 주 월~금요일, 매주 수요일로 달력에 표시하면 'T'자 모양이 된다.
SK텔레콤의 T데이 도입과 함께 KT는 '더블할인' 혜택을 부활시켰으며 LG유플러스도 '나만의 콕' 제도를 도입하는 등 멤버십 혜택 확대 경쟁이 촉발된 바 있다. 당시 보편요금제 도입에 대한 정부의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고객들이 통신비 인하를 체감할 수 있는 수단으로 멤버십 할인이 확대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KT는 2020년에도 현행 포인트제도를 유지할 계획이다. KT는 △VVIP 15만 포인트 △VIP 12만 포인트 △골드 10만 포인트 △실버 7만 포인트 △화이트 5만 포인트 등으로 등급별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KT는 멤버십 제휴사 수를 2018년 1월 81개에서 2019년 10월 137개로 확대하는 등 업계 최고 수준의 혜택을 제공 중"이라며 "2020년에도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고객 혜택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