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11일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집단감염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진 사업장·시설 등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구로구 콜센터 집단감염으로 인해 현재까지 9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근무환경이 감염에 취약한 사업장의 경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윤태호 중대본 방역총괄반장은 브리핑에서 “밀폐된 공간에서 사람들이 밀집해 일을 하며, 침방울(비말)로 인한 감염 위험성이 큰 환경을 가진 사업장‧시설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장 등의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예방조치를 검토했다”고 말했다.
윤태호 반장은 “1일 2회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확인, 유증상자 출근·이용 중단 및 업무배제, 종사자·방문자 목록 관리 등을 실시하게 하여 종사자·이용자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 등도 논의가 됐다”며 “각 사업장이 위생‧환경 관리를 위해 손 소독제 비치, 주기적 환경소독과 환기 실시, 감염관리 전담직원 지정 등의 예방조치를 강구 하는 방안 등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대본은 고위험 사업장의 공통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윤태호 반장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 각 사업장의 소관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사업장 유형별 감염관리 지침을 배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대본은 코로나19 환자에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도별 환자 관리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윤태호 반장은 “오늘 회의에서 각 시·도의 준비상황 및 운영상황을 점검했으며, 환자 분류체계가 잘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