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 '美 제로금리 곧장 가나' 코로나 불안감 vs 경기부양 기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0-03-16 03: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8일 美 연준 FOMC 결과 발표, '1%p 단번에 인하' 기대

  • G7 정상 화상회의·일본은행 등 각국 양적완화 도입하나

[사진=연합뉴스]


이번 주(16~20일)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결정 등 미국 당국의 부양책 규모를 지켜보면서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주 글로벌 증시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사태 속에서 연일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오는 17~18일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예정한 가운데, 이날 연준이 큰 폭의 추가 금리 인하와 양적완화(QE) 도입 등 공격적 조치를 내놓을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려 있다.

이번 달 초 연준은 뉴욕 증시 급락세에 0.5%포인트에 달하는 긴급 금리인하 후, 지난주에도 연일 유동성 공급 대책을 쏟아냈다. 연준의 이번 FOMC 결과는 향후 증시의 방향을 확실히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월가에서는 연준이 현재 1.0~1.25%인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0~0.25%)으로 1%포인트를 단번에 내릴 것이란 전망이 급속히 확산 중이다. 연준이 전격적으로 QE를 도입할 것이란 시각도 있다.

앞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연준이 유동성 확대를 위해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향후 얼마나 더 지속할지 여부도 핵심 변수다.

지난주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 급격한 확산세는 글로벌 경제 활동에 제약을 걸고 있다. 미국의 유럽 28개국 여행 제한 조치,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전국 봉쇄령, 유럽 각국의 국경 봉쇄를 비롯해 각국의 대규모 행사 금지, 프로 스포츠 중단 등 잇단 충격파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부양책이 코로나19에 무너지는 경제를 지탱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지난 몇 주간 코로나19 불안감에 증시가 폭락할 때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각국 정부의 시장 안정 메시지가 다음날 반등세를 이끌었다.

미국 동부시각 기준 지난 12일 미국 뉴욕증시 대표지수인 다우지수는 무려 2000포인트 이상 폭락하며 블랙먼데이 이후 최악의 하루를 맞았다. 이에 놀란 미국 행정부는 다음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무려 500억 달러(약 61조원) 규모의 코로나19 패키지 지원 법령을 제안했다. 이 결과 다음날 다우지수는 무려 9.36% 폭등했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도 각각 9.29%, 9.35% 반등으로 답하며 전날의 손실을 만회했다.

이번 주 역시 코로나19 불안 장세가 이어지면서 연준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과 정부의 행보에 따라 시장이 출렁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국 연준의 FOMC 외에도 일본은행(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도 예정돼 있다. 다만, BOJ는 전주 유럽중앙은행(ECB)이 내린 결정처럼 이미 마이너스인 금리를 더 내리기보다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확대 등의 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주요 7개국(G7) 정상은 오는 16일 화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G7 정상들은 부양책 확대 약속 등 시장을 안정시키는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

원유 시장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사이에서 갑작스럽게 시작한 '저유가 전쟁'에 미국이 참전을 선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원유 시장 부양을 위해 전략비축유 대량 매입을 미국 에너지부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유가 폭락으로 자국 셰일유 업체들이 궁지에 몰리는 것을 보고만 있지는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유가가 상향 안정화에 성공한다면 다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한층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외 이번 주 주목할 만한 미국 지표로는 16일 3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와 17일 2월 소매판매·산업생산, 19일 3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등이다. 이들 지표를 통해 코로나19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규모를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들 결과가 시장과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크게 빗나간다면 시장 불안요소로 떠오를 가능성도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