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규모 시위에 이어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극심한 경기침체에 빠진 홍콩 정부가 추가 지원책을 집행하기로 했다.
18일 중국 반관영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홍콩 입법부는 이날 1375억 홍콩달러(약 21조5903억 원) 규모의 2차 지원책을 승인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 2월 300억 홍콩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내놓은 데 이어 추가 지원책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과감하고 파격적인 조치로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지원책은 800억 홍콩달러 규모의 취업보장 보조금이 포함됐다. 홍콩 당국은 고용주가 근로자의 급여 50%를 6개월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용주에게 최대 9000홍콩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의회 내 야권은 이번 지원책이 노년층 등 일부 계층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근로자가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퇴직연금(MPF)에 가입돼 있어야 하는데, 65세 이상 고령 근로자들은 MPF를 기입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또 최근 중국 당국의 홍콩 범민주 진영에 대한 탄압을 문제 삼으며 지원안 심사 연기를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코로나19 방역의 모범사례로 꼽혔던 홍콩도 해외 역유입 통제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코로나19가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자 홍콩에도 귀국하는 여행객을 통해 바이러스가 다시 유입된 것이다. 18일 하루에만 2명의 확진자가 나오며 누적 확진자가 1023명으로 늘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7일부터 외국인 관광객의 홍콩 입경은 물론, 경유를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하기로 했다.
18일 중국 반관영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홍콩 입법부는 이날 1375억 홍콩달러(약 21조5903억 원) 규모의 2차 지원책을 승인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 2월 300억 홍콩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내놓은 데 이어 추가 지원책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과감하고 파격적인 조치로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지원책은 800억 홍콩달러 규모의 취업보장 보조금이 포함됐다. 홍콩 당국은 고용주가 근로자의 급여 50%를 6개월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용주에게 최대 9000홍콩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최근 중국 당국의 홍콩 범민주 진영에 대한 탄압을 문제 삼으며 지원안 심사 연기를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코로나19 방역의 모범사례로 꼽혔던 홍콩도 해외 역유입 통제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코로나19가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자 홍콩에도 귀국하는 여행객을 통해 바이러스가 다시 유입된 것이다. 18일 하루에만 2명의 확진자가 나오며 누적 확진자가 1023명으로 늘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7일부터 외국인 관광객의 홍콩 입경은 물론, 경유를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하기로 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