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경기 회복 이후 즉각 고용을 늘리지 안흔 만큼 수요 충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박창현 한국은행 조사총괄팀 과장과 유민정 고용분석팀 조사역은 31일 '코로나19의 노동시장 수요·공급 충격 측정 및 평가' 보고서를 통해 노동시장의 수요·공급 충격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노동시장 충격을 추정한 결과 노동수요와 노동공급 모두 부정적인 충격이 컸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 예술·스포츠·여가, 교육 등 주로 대면접촉이 많은 업종에서 충격이 크게 발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총 근로시간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공급보다 수요에서 발생한 충격이 더 컸다. 박 과장은 "공급충격은 과거 5년 내 발생한 충격의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며 "하지만 수요 충격은 최근 발생한 충격보다 영향이 훨씬 컸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노동시장에서 수요에서 발생한 충격이 공급에서 발생한 충격보다 크고 오래 지속된다는 점이다. 경기가 회복세를 타면 구직 단념자들이 다시 구직시장에 뛰어들지만 기업들은 줄였던 고용인원을 바로 늘리지 않는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노동시장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부정적 영향이 대면서비스업, 수요분야에서 집중되고 영향도 지속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면서비스업 분야에 고용유지지원정책 등을 강화해 충격을 완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박 과장은 "장기적으로는 원격근무 확대, 디지털 전환 등으로 노동시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일자리 구조변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저숙련 일자리 소멸 등 취약부문의 고용악화에도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