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장산단 인입철도·익산~대야 개통…서해안축 물류거점 도약

  • 산단 ․ 항만 국가철도망 연계로 환황해권 물류발전·경쟁력 기대

서해안 축 노선도[사진=국가철도공단 제공]

군산항역과 장항선 신 대야역을 연결하고 군장 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와 장항선 그리고 호남선을 이어주는 익산~대야 복선전철이 개통됐다.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은 10일 군장산단 인입철도*(대야역~군산항역, 28.6km) 및 익산~대야(14.3km) 복선전철 개통식을 갖고 운행에 들어갔다다.

이번 사업은 2012년 12월에 동시 착공해 약 8년만에 마무리됐다.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는 총 사업비 6,167억 원, 익산~대야 복선전철은 4,946억 원을 투입됐다.

인입철도란 산단이나 항만에서 주요 물품을 간선철도로 수송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철도이다

군장산단 인입철도 사업은 총 연장 28.6Km이며, 군산항역 1개소, 교량 19개소(7.7km), 터널 4개소(1.2km), 토공 19.7km로 구성됐다.

인입철도 개통으로 기존 군산역 화물취급 기능을 군산항정거장으로 이전해 종이, 석탄, 철강, 컨테이너 등 주요 품목을 광양권, 부산권 등으로 수송하게 된다.

또 ,건설기계, 부품, 철강 등의 물류수송이 전국 단위의 국가철도망과 연계돼 정시성 및 안정성을 갖춘 대량수송이 가능해졌다.

군산ㆍ군산2국가산업단지는 두산인프라코어㈜, 타타대우상용차㈜, ㈜세아제강 등 700여 개(‘20.6월 기준)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군산항과 산업단지 입주 업계는 전국 철도망과 군산항역을 연계한 일괄수송체계가 구축돼, 산단․항만의 물류 거점화에 따른 경쟁력 확보 및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익산∼대야 복선전철 사업은 대야역과 토공 6.8㎞, 교량 11곳(7.5㎞)이 설치됐다

익산~대야 전철 개통으로 선로용량이 1일  23회에서 130회로 증가하고, 철도를 횡단하는 철도건널목 15개소가 입체화돼  지역주민들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됐다.

익산∼대야 복선전철 사업은 장항선 복선전철 구간 중 첫 단계 개통사업이다. 2024년 모든 구간(총연장 118.6㎞)이 개통되면 경부선∼장항선∼전라선을 잇는 서해안 축 주요간선 철도망이 완성된다.

향후 장항선과 서해선(2022년 개통 예정), 원시∼소사 구간, 소사∼대곡 구간(2021년 개통 예정), 경의선이 연결돼 서해안 축 지역주민의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단측은 서해안 축 간선철도망은 한반도 종단철도인 경의선과 북한의 개성∼신의주를 거쳐 대륙철도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