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정부는 총 7600만명 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와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얀센 등 개발 제약사와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노바백스와는 2000만 명분의 공급 계약을 추진 중이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21일 백신보관용 초저온냉동고 생산 회사인 경기 동두천시 일신바이오베이스 본사를 방문해 백신 냉동고를 살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백신 접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정부가 마련해야 할 필수 조건 중 하나로 '접종센터 구축'이 있다. 정부는 지난 21일 백신 접종이 전국 백신접종센터 250곳과 위탁의료기관 1만 곳에서 진행된다고 밝혔다. 화이자와 모더나처럼 '극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은 접종센터에서, 상대적으로 보관이 용이한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른 백신은 위탁 의료기관에서 맞게 될 전망이다.
백신접종센터는 하루에 1000~3000명 정도 접종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20일까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접수된 후보지 150곳을 놓고 질병관리청과 함께 심사해 이번 주 초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접종센터 구축과 맞물려 있는 '콜드체인 구축'도 필수 조건 중 하나다. 운송 과정에서 화이자 백신은 섭씨 영하 70도, 모더나 백신은 영하 20도의 초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효과가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온도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지만 냉장 보관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질병관리청이 의뢰한 공고를 통해 백신 유통업체로 선정됐다. 배송 대상 백신은 다음 달 접종 예정인 화이자 등 몇 개 회사의 제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계약은 한국이 도입하기로 한 7600만 명분의 백신 전체 유통에 대한 계약은 아니다.
아울러 백신의 예방효과를 극대화할 '접종 전략'이 필수 조건 중 하나로 언급된다. 백신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고 실제 일반인에 사용돼 나타나는 예방 효과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개별 제약사들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운반 조건부터 백신 효과, 접종 방식에 있어 상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종 횟수 및 일정이 제약사에서 권고하는 방법과 다르게 접종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예컨대 총 2회 접종이 권고된 백신인데도 1회만 접종하거나,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하는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 간격으로 접종하는 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