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력의 한계로 인해 조사 대상자를 모두 살펴보지 못했을 뿐 아니라 총 9개 항목의 의무사항 중 1개만 집중적으로 단속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사실상 본격적인 조사는 시작도 하지 않은 셈이다.

국토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1차 전수조사 결과표.[자료 = 국토부]
계획에 차질이 생긴 가장 큰 원인은 국회와 중앙정부에서 임대사업자제도를 연달아 손질하면서 실무를 맡은 지방자치단체 행정력에 과부하가 걸렸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7월 임대차3법이 통과된 후 단기임대(4년)와 아파트 장기일반 매입임대(8년) 제도가 폐지돼 159만호 중 100만호가량의 등록말소 업무가 전수조사와 겹치게 됐다.
익명을 요청한 모 지자체 관계자는 ”임대사업자 전수조사만 담당하는 인력을 구청당 1~2명씩 총 50여명을 신규 채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절대로 감당할 수 없는 업무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수천만원의 과태료와 세제 혜택 말소 등 민감한 재산권이 달린 문제라서 조사 한 건당 극심한 민원에다 추진실적을 제출하라는 (중앙정부) 압박에 시달렸다“고 말했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정부는 총 9개의 임대사업자 공적 의무사항 중에서 전산상 추려내기 수월한 ‘임대의무기간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했고, 총 3692건의 의무 위반을 적발했다.
위반 시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3000만원까지 과태료를 내야 하는 공적 의무는 △임대료 증액 제한 △임대차계약 신고 △임대차계약 유지 △보증금 보증 △자료협조 등이 있다.
올해에는 임대료 증액제한 및 임대차계약 신고 위반 등으로 조사범위를 넓힌다. 사안에 따라서는 지난해 적발된 위반자가 올해 또 다른 행정처분 대상으로 적발될 수 있다.

[자료 = 국토부 ]
국토부 관계자는 ”전산으로 확인했을 때 임대료 증액제한 위반 의심사례만 약 7만건이 나왔다“며 ”향후 2~3년은 하나하나 확인하는 전수조사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4월경 국토부가 모 지자체 한 곳을 표본삼아 조사한 결과로는 등록 임대사업자 중 절반 이상이 임대차계약 내용을 구청에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앞으로 시작될 대대적인 행정처분에 대한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미 임대사업자 약 3000명이 지난해 7월 감사원에 국토부의 행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공익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최근 법률 개정이 잦았던 데다 공적 의무사항에 관한 안내가 부실했고, 계도기간 없이 바로 법을 집행하는 일이 불합리하다는 취지에서다.
임대인협회 관계자는 "구청 직원이나 전문가조차 알기 어려운 규정들을 아무런 예고나 안내 없이 처벌하는 건 부당하다"며 "안내만이라도 제대로 됐다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법을 위반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시작될 대대적인 행정처분에 대한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미 임대사업자 약 3000명이 지난해 7월 감사원에 국토부의 행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공익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최근 법률 개정이 잦았던 데다 공적 의무사항에 관한 안내가 부실했고, 계도기간 없이 바로 법을 집행하는 일이 불합리하다는 취지에서다.
임대인협회 관계자는 "구청 직원이나 전문가조차 알기 어려운 규정들을 아무런 예고나 안내 없이 처벌하는 건 부당하다"며 "안내만이라도 제대로 됐다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법을 위반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